기사내용 메인

"지금 출발하면 광화문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요즘 이런 질문하면 옛날 사람 취급받는다. 휴대폰 내비만 켜도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을 알 수 있다. 앱이 없으면 포털을 이용해도 된다. 몇 글자만 검색하면 어떤 도로가 막히는지 손쉽게 알 수 있다. 그런데 정보를 주는 곳마다 차이가 있다. 힌트를 주면 기준과 표현 방식에 약간씩 다르다.

강남 일대는 온통 정체

교통 정보 서비스는 어디에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곳은 크게 기관과 기업으로 나뉜다. 먼저 국토교통부 산하 국가교통정보센터, 한국도로공사, 지방국토관리청이 있다. 여기에 경찰청 소속 도시교통정보센터와 각 지자체가 공공 기관에 속한다. 민간 기업은 인터넷 포털사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있으며 SKT와 KT 등의 이동통신 사업자도 있다. 확인 결과 많은 곳에서 교통 정보 서비스를 다루고 있었으며, 각각 미세한 차이도 발견됐다.

교통 상황 안내 등급

도로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는 많다. 그중에서도 우리가 흔히 듣는 표현은 막힘, 정체, 지체, 혼잡, 서행, 원활 등이 있다. 기관과 기업에서는 어떻게 교통 정보를 알리고 있는지 모두 살펴봤다. 가장 널리 쓰인 방법은 3단계로 '정체-서행-원활'로 표현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지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제 궁금증을 풀어볼 시간. 도시교통정보센터와 카카오는 '지체'라는 등급을 두었다. 무심코 들으면 정체와 잘 구분할 수 없다. 그러나 이 두 곳은 '지체'를 각각 다르게 사용했다. 먼저 도시교통정보센터는 가장 막히는 상태를 지체로 표현했다. 쉽게 말하면 다른 곳의 정체와 같은 의미. 반면 카카오는 정체와 서행 사이에 지체를 두었다. 카카오는 유일하게 4단계로 구분해 교통 상황을 알리고 있다.

기준은 평균 운행 속도

기준은 구간별 평균 속도로 정한다. 각각 교통량, 고정식 카메라, GPS 등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확보하며 공유하기도 한다. 이 데이터를 도로 종류에 따라 속도 기준을 대입해 현재 교통 상황을 결정한다. 국도, 고속도로, 도시고속도로 등 종류가 다양하다. 대표로 시내도로와 고속도로 교통 상황 기준을 확인했다.

기관에 속하는 국가교통정보센터와 도시교통정보센터는 기준이 같다. 시내도로 교통 상황 기준을 각각 15km/h와 25km/h로 두었다. 반면 네이버와 카카오 SKT는 소통 원활의 기준을 30km/h 이상으로 기관보다 기준이 높다. 4단계로 나뉘는 카카오는 10km/h 단위로 정체, 지체, 서행을 구분했다.

마찬가지로 기관으로 볼 수 있는 국가교통정보센터, 도시교통정보센터, 한국도로공사는 기준이 같다. 40km/h 미만을 정체, 80km/h 이상을 원활로 판단한다. 네이버와 카카오, SKT는 70km/h 이상을 원활로 보아 기관에 비해 낮은 기준이다. 시내도로에서 기관보다 높았던 원활의 기준, 고속도로에서는 반대 양상을 보였다.

교통 정보를 안내하는 방식이 다르면 이용자들은 혼란에 빠진다. 때문에 도로교통공단에서는 지난 2018년 '신뢰도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정체, 서행, 원활' 3단계 도로 상황과 3종류로 도로를 분류했다. 도로교통관리공단은 이후 타 서비스에도 협의를 통해 단일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지만 끝내 완성되지는 못했다.

고석연 기자

nicego@encarmagazine.com

작성자의 다른글 보기